[SpringBoot] Spring Boot + React를 활용한 OAuth 2.0 로그인 구현 (카카오 기준)
·
SpringBoot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소셜 로그인 구현을 맡게 되었다. 처음에는 프론트엔드에서는 소셜 로그인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말을 들었지만, 직접 구현해 보니 생각보다 복잡한 과정이 많았다. 특히 OAuth 2.0을 기반으로 한 로그인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이해하고, 카카오, 네이버, 구글 등 서로 다른 방식의 API를 다뤄야 한다는 점에서 혼란이 있었다. 처음에는 카카오 로그인이 가장 쉬운 것 같아 이를 먼저 구현하기로 했다. 하지만 카카오 개발자 문서를 읽어보면서도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역할이 명확하게 잡히지 않아, 다른 사람들의 블로그와 공식 문서를 참고하며 하나씩 개념을 정리해 나갔다.특히, 소셜 로그인은 인가 코드, 액세스 토큰, 사용자 정보 조회 등의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
[SpringBoot] jsp 만들기
·
SpringBoot
jsp 개발 환경 설정SpringBoot에서는 jsp 사용을 권장하고 있지 않다. (보통 Thymeleaf 많이 사용)jsp를 사용하려며 수동으로 tool 설치 및 설정을 해줘야 한다. 1. 폴더 만들기 2. jsp 만들기앞에서도 말했지만 기본 기능이 아니라서 수동설치 및 설정이 필요하다.① Eclipse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 Tools 설치  ② Eclipse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 Tools 설치 3. 편접기, 한글 인코딩 설정 4. jasper 의존성 패키지 추가jsp를 servlet으로 변환해준다.starter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pom.xml에 등록 해야한다. org.apache.tomcat.embed ..
[SpringBoot] SpringBoot 설치부터 프로젝트 생성, 의존성 추가까지
·
SpringBoot
1. 프로젝트 설치하기1. STS 다운받기https://spring.io/tools 에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STS를 다운받는다 2. 스프링부트 STS4 설치(압축 풀기) ① jar형식으로 압축 풀릴때 ② 압축이 바로 풀리지 않을 경우 (알집 설치된 경우) ③ 공통 2. 프로젝트 만들기1. 프로젝트에 대해서 설정하기 2. 프로젝트 생성된 후 모습 3. 기본 의존성(dependency) 확인 pom.xml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test test org.apache.tomcat.embed tomcat-embed-jasper provided jakarta.servlet jakarta.servlet-api provide..
[SpringBoot]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란?
·
SpringBoot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한 개념이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이다. 처음에는 객체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설계 패턴이라는 설명이 추상적으로 느껴졌으나,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경험해 보니 이 개념이 코드 구조와 유지보수성에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의존성 주입의 개념, 장점, 사용하는 이유, 실제 예시와 함께 이를 이해하기 쉽게 비유를 통해 정리하려 한다.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란?의존성 주입은 객체가 필요한 의존성을 스스로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달받아 사용하는 설계 패턴이다. 이를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코드의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스프링 부트에서는 IoC(Inversion of ..